(곽명동 씨네토크) ‘첫 소’, 외로운 ‘기생충’들의 소박한 우정

1820년대 미국 오레곤주, 사냥꾼들의 식량을 담당하는 쿠키(존 마가로)는 러시아인들의 표적이 되어 쫓기는 루왕(오리온 리)을 구한다.

쿠키는 숲속에 알몸으로 숨어 있는 루왕에게 옷과 음식을 주어 위험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몇 년 후, 정착한 마을에서 우연히 다시 만난 두 사람은 마을의 유일한 소에게서 우유를 훔치고 빵을 만들어 돈을 벌기로 결심한다.

두 사람은 매일 밤 마을의 유일한 젖소를 찾아 우유를 짜고, 만든 맛있는 스콘을 시장에 팔아 적은 돈을 아끼게 된다.

소주이자 마을 관리인인 팩터(토비 존스)는 스콘의 맛에 반해 쿠키에게 파티용 디저트를 만들라고 명령한다.

쿠키와 루왕은 팩터에게 잡히면 죽을 수도 있음을 알면서도 돈을 벌기 위해 소로 돌아갑니다.

영화가 시작되면 ‘새에게는 둥지, 거미에게는 거미줄, 인간에게는 우정’이라는 윌리엄 블레이크의 시 한 구절이 부제처럼 떠오른다.

우정은 인간에게 편안한 안식처이다.

그러나 자본주의는 경제적 약자들의 우정에는 관심이 없습니다.

변방에 내몰린 미국인들의 삶을 그려온 켈리 리카르트 감독은 자본주의의 잔인함을 비판하고, 유대인 쿠키와 중국 루 왕의 우정을 통해 인류의 따뜻한 연대를 끌어안는다.

초기 미국 서부 시대. 발 없는 새들처럼 정착할 곳을 찾지 못하고 외롭게 길을 헤매는 두 명의 낯선 사람들. 그들에게는 편안한 보금자리도, 거미줄도 없었지만 기댈 수 있는 ‘우정’이 있었습니다.

느리고 조용하게 펼쳐지는 ‘슬로우 무비’처럼 보이는 이 영화는 사실 그 이면에 긴장감과 몰입감을 갖고 있다.

언제 우유를 훔치다 적발될지, 언제 팩터 갱단에게 잡힐지 알 수 없습니다.

팩터가 베이커 쿠키와 루 왕을 자신의 집으로 초대하는 장면을 떠올려보세요. 팩터가 집 안에서 “노동력이 더 강한 처벌을 받을 수 있다면 바람직하다”는 선장의 말을 듣고 있는 동안, 카메라는 창밖을 걷고 있는 두 남자의 모습을 포착한다.

팩터의 젖소에서 훔친 우유로 만든 디저트를 들고 팩터의 집에 들어오는 우유 도둑들의 운명에는 비극의 그림자가 드리워져 곧 처벌을 받을 것임을 암시한다.

총이 아닌 음식으로 서부극을 다시 쓰고 있는 ‘첫 번째 소’는 가로로 넓은 화면을 포기하고 4:3의 세로 구성으로 두 캐릭터의 소박한 우정을 강조한다.

액션과 총격전의 서부가 백인 중심의 미국 신화였다면, 음식과 우정의 서부는 이민자들이 건국한 국가의 정체성을 지닌 미국의 ‘팩트’를 적나라하게 드러낸다.

우유를 훔치고 음식을 만들어야만 살 수 있고 미래를 꿈꿀 수 있다는 ‘아메리칸 드림’은 환상에 불과했다.

팩터가 강조한 징벌과 응징이 자본주의를 작동하게 만들었고, 그것이 결국 미국의 진짜 얼굴이었다.

땅에 묻힌 얇은 뼈와 두개골은 미국이 성장한 과정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봉준호 감독이 ‘첫 번째 소’를 칭찬한 것은 당연해 보인다(그는 ‘아무도 흉내낼 수 없는 아름답고 시적인 영화’라고 칭찬했다). 1820년대 미국을 배경으로 한 ‘첫 번째 소’와 2010년대 후반 한국을 배경으로 한 ‘기생충’은 어느 정도 유사하다.

두 영화의 주인공은 살아남기 위해 상류층을 속이고 계략을 꾸려야 하는 하층민들이다.

상류층의 속물근성, 일이 뜻대로 되지 않는 것도 마찬가지다.

한 가지 차이점은 ‘기생충’의 기택(송강호) 가족이 근세(박명훈) 부부와의 연합을 거부한 반면, 쿠키와 루왕은 결코 서로의 곁을 떠나지 않았다는 점이다.

그렇게 그들은 친구가 되었습니다.

‘기생충’과의 우정!
(사진=진진필름컴퍼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