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을 소유하려고 할 때. (자기감정_니체)

지식을 소유하려고 하지 맙시다.

나는 내가 안다고 말하는 것의 경계를 알고 있는가? 내가 안다고 말하는 것이 꺼내지도 못하는 사람에게는 쓸모가 없을 수도 있고, 누군가 앞에선 날카로운 검이 될 수도 있고, 자유롭게 휘두를 수 있는 무기가 될 수도 있다.

지식의 경계가 고무줄처럼 어디에서, 어떻게 사용되는지에 따라 늘어나고 줄어들면 과연 진정한 지식이라고 할 수 있을까? 내 돈으로 산 물건이 내 재산이라고 하면 그게 정말 내 재산인가요? 내 돈과 내 노력으로 내 소유가 될 수 있을까? 길가에 핀 들꽃을 따서 꽃병에 꽂아 두어도 내 꽃이 되지 않듯이, 지식과 소유도 마찬가지가 아닐까? 부모가 자녀를 잔소리하고 꾸짖는 근본 원인은 자기가 원하는 것을 하지 않기 때문이며, 그것은 자신이 아는 범위를 넘어섰기 때문에 시작됩니다.

지식도 사랑도 소유할 대상이 아닙니다.

반드시 충족해야 할 사항입니다.

이렇게 보고, 저렇게 보고, 뒤집어보고, 새롭게 마주해야 할 대상이어야 한다.

지식과 사랑을 소유하려는 것은 그것을 내 발 밑에 두고 싶다는 표시일 것이다.

경멸의 대상. 내가 원하는 대로 움직여야 하는 물체. 아, 가스렌지. 반 고흐는 나무를 그리기 위해 매일 만났다고 합니다.

누워서 만났고, 어느 날은 달리면서 만났고, 또 어느 날은 천천히 걸으면서 만났습니다.

비오는 날에도 꼭 안아주고, 비 속에서도 함께하고, 눈이 와도, 바람이 불어도 항상 옆에 있었다고 한다.

그러던 어느 날 나무 한 그루가 말을 걸었고 그는 붓을 들고 그림을 그리기 시작했습니다.

하늘과 땅이 하나되는 순간입니다.

그 순간 나의 지식은 흩어지고 사라지고, 나의 사랑도 주체 없는 대상이 되어 자유롭게 떠돌게 될 것이다.

그림이 그려지니까 할 말이 있겠네요. 그림이 그려지면서 나의 경계가 무너지는 것을 보게 될 것입니다.

그림을 그리다 보면 내가 그림을 그리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깨닫게 됩니다.

그리다 보면 내 감정이 내 것이 아니라는 것을 나무를 통해 깨닫게 될 것입니다.

이것이 지식이요, 이 사랑이요, 이것이 생명의 법이 아니냐? “자아감정의 소유욕에는 한계가 없습니다.

니체 형제의 말입니다.

자아 감정. ‘나’, ‘나’, ‘나에게’ 등 우리가 무의식적으로 내뱉는 말들 속에 우리는 이미 자아의 감정에 파묻혀 있을지도 모릅니다.

“내가 그렇게 말했잖아!
” “네가 어떻게 나한테 그럴 수가 있어!
” “그렇게는 안 했을 텐데!
”… 지식과 사랑을 갖고 싶은 욕망에서 감정이 생기고, 그 감정을 유지(기쁨)하거나 멀리(슬픔)하려는 욕망이 생기고, 그 욕망이 생겨난다.

어떤 행동을 취하게 되면 그 행동은 오해와 진실 사이에서 또 다른 감정을 불러일으킬 것입니다.

그럴 것이다.

따라서 자아 감정의 소유욕은 사방으로 퍼지고 흩어질 것입니다.

흩어진 감정 하나하나가 공기를 만나고 떠돌며 자녀, 사랑하는 사람, 이름도 얼굴도 모르는 누군가에게 스며드는 것을 상상한다면, 오마이가스레인지 2. 내가 어떻게 물건을 살 수 있겠는가? 내 돈으로 내 개인 재산이 되나요? 내 돈이 어떻게 내 돈이 될 수 있나요? 알려주고, 공유하고, 내려놓고, 내가 아는 것이 맞다면 공유해야 합니다.

반 고흐 형제처럼, 한 가지만 알면 그를 만날 것입니다.

다른 걸 알았다면 그 사람을 다시 만날 텐데. 앎이 나에게 그렇게 말할 때 나는 나만의 언어와 나만의 목소리를 사용해 조심스럽게 붓을 집어들어야 한다.

그리고 당신에게 알려줘야 해요. 그리하여 나의 지식이 세상의 비가 되어 많은 사람과 천지 만물을 적시게 되리라. 그렇다면 그것은 수증기가 되어 하늘로 올라갈 것이고, 누군가의 지식 공유로 인해 비가 되기도 할 것입니다.

그리고 우리는 또 그 비를 맞을 것이다.

그러면 나는 다시 걸어가며 또 다른 세상을 만나게 될 것이다.

그러면 우리의 모든 감정은 흩어지고 우리의 삶이 우리의 삶 속으로 스며들게 될 것입니다.

사랑의 비로 지식이 세상에 뿌려질 때